문화 및 교육 지원
일상돌봄 서비스 사업
2025-07-23
- 맞춤 키워드
- 중장년 청년
- 주제
-
일상의 불편함, 부족함을 해소하고 싶을 때
- 문의
-
보건복지상담센터(129) * 지역별 사업이 상이하므로 읍면동 주민센터(행정복지센터) 및 시군구청에 사전 문의 필요
대상
일상생활에 돌봄이 필요한 청년 및 중장년(19~64세)과 가족돌봄청년(13~39세) * 질병·부상으로 독립적 일상생활이 어려운 청·중장년, 고독사 위험 중장년, 고립은둔청년, 자립 준비청년, 가족돌봄청년 등
방법
본인(부모 또는 보호자) 또는 법정대리인이 거주지 읍면동 주민센터(행정복지센터)에 신청· 접수 → 상담 및 욕구조사, 소득조사 → 이용자 선정·통지 * 서비스 및 제공기관은 관할 시군구,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포털( www.socialservice.or.kr )에서 확인 가능
내용
기본서비스(재가 돌봄·가사 서비스)와 특화서비스(식사영양관리, 심리지원, 소셜다이닝 등)로 구성, 이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·이용![]()
다음글
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?